안전보건자료(26)
-
[논문] AERMOD를 활용한 건강위해성평가 및 배출저감제도에 관한 연구
23번째 게재된 논문을 소개 드립니다. "AERMOD를 활용한 건강위해성평가 및 배출저감제도에 관한 농도"라는 주제로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에 2024년 3월 게재된 논문입니다.
2024.04.09 -
사업장 비상상황 대비 가이드라인
사업장에서 중대산업재해, 중대시민재해 등 비상상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예방적 측면에서 관리도 필요하겠지만, 발생 시 신속한 사태 수습과 대처능력을 요구됩니다. 이에 고용노동부에서 제작한 "사업장 비상상황 대비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실 수 있도록 공유 드립니다.
2024.01.03 -
2023년도 위험성평가 및 안전보건관리체계 우수사례집
2023년도 위험성평가 및 안전보건관리체계 우수사례집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에서 "2023년도 위험성평가 및 안전보건관리체계 우수사례집"을 발간하였습니다. 제가 근무하고 있는 연세대학교 의료원에서도 수록되어 있다보니 공유하고자 합니다.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과 연관하여 위험성평가의 중요성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험성평가의 전과정에서 근로자의 참여를 필요로 하고, 기존의 빈도강도법 뿐만 아니라 새로운 위험성평가기법들을 적용하여 함으로써 조금은 쉽게 접근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함께 참여하는 위험성평가!! 안전한 병원 만들기!!
2023.12.30 -
근로자 건강진단 실무지침 2023.12.30
-
중대재해 사고백서- 2023 아직 위험은 끝나지 않았다~~
고용노동부가 7일 '중대재해 사고백서: 2023 아직 위험은 끝나지 않았다'를 발간했다. 중대재해 사고백서에는 실제 발생한 주요 중대재해 중 동종・유사 기업에서 반면교사로 삼을 10개의 핵심 사례가 담겼다. 20대 여성 노동자가 식품 혼합기에 끼어 숨지는 등 잇단 끼임 사망사고로 커다란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거센 불매운동에 직면했던 SPC 그룹 사례 등이다. 백서 마지막 부분에는 지난해 중대재해 사망사고 611건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했는지 알 수 있도록 사고 개요와 사고별 예방 대책이 일람표 형태로 수록됐다. 중대재해 사고백서는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교보문고와 예스24, 알라딘 등 전자책 플랫폼(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에서도 무료로 볼 수 있다.
2023.12.04 -
MSDS질의회시
물질안전보건자료에 대한 질의회시 내용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2023.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