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산성본부(5)
-
2025년 제4회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 시행계획 공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2025년 제4회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 시행계획 공고를 하였기에 공유 드립니다.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하 ‘연구실안전법’)」제34조∼제38조에 따라 2025년도 제4회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5년 3월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 상 임1. 시험일정시험회차접수기간시험일자합격자 발표응시자격 증빙서류 제출제1차 시험’25. 4. 28.(월) 10:00 ∼ ’25. 5. 9.(금) 17:00’25. 7. 12.(토)’25. 8. 6.(수)’25. 4. 28.(월) 10:00∼ ’25. 5. 9.(금) 17:00 ※ 결과 통지 및 보완 완료 : ∼ ‘25. 6. 13.(금) 제2차 시험’25. 9. 15(월..
2025.03.24 -
2024년 제3회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 공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4-0296호2024년 제3회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 시행계획 공고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하 ‘연구실안전법’)」제34조∼제38조에 따라 2024년도 제3회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4년 3월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 종 호1. 시험일정시험회차접수기간시험일자합격자발표응시자격 증빙서류 제출제1차 시험’24. 4. 22.(월) 10:00 ∼ ’24. 5. 3.(금) 17:00’24. 7. 6.(토)’24. 8. 7.(수)’24. 4. 22.(월) 10:00 - ’24. 5. 3.(금) 17:00 ※ 결과 통지 및 보완 완료 : ∼ ‘24. 6. 19.(수) 제2차 시험’24. 9. 2(월) 10:00..
2024.03.30 -
2023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 제1차 시험 제1과목 기출문제
지난 7월 22일, 시행되었던 2023년 제2회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과 관련하여 출제되었던 제1과목 연구실 안전관련 법령에 대하여 문제를 다루어 보왔습니다. 제1과목은 「산업안전보건법」,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등 연구실 관련 안전관계 법령에 대한 내용으로 법규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중요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1과목 연구실 안전관련 법령1.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국가의 책무가 아닌 것은? ① 연구실 안전관리기술 고도화 및 연구실사고 예방을 위한 연구개발 촉진 ② 연구실 안전 및 관련 단체 등에 대한 지원 및 지도·감독 ③ 연구 안전에 관한 지식·정보의 제공 등 연구실 안전문화의 확산을 위한 노력 ④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실 안전환경 및 안..
2023.09.12 -
[행정안전부] 2023년 안전교육 전문인력 역량강화 교육 참여
이날은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진행된 2023년 안전교육 전문인력 역량강화 교육 '강의력 코칭 과정(제29차수)'에 참여하였으며, 주말(토요일) 4시간이라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값진 교육이었다고 생각됩니다. 교육장소는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가길 32, 한국생산성빌딩 한국생산성본부 3층 308호 강의장이었고, 안전교육 전문강사로 강의기법, OBM(Opening, Believe, Move) 강의구조화 등 많은 내용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나름 강의를 많이 하는 편이지만, 보다 더 효과적인 강의스킬을 확인하고자 참여한 교육으로 열심히 임하였습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023년 안전교육전문인력 강사양성 과정(초급)에 수강신청하고 교육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에 전날 외부활동신고를 마쳤으며, 휴일(토요일)임에도 ..
2023.08.20 -
연구실안전관리사 학습가이드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은 2022년 첫 시험을 시행하였습니다. 시험 응시자를 위해 학습가이드를 마련하여 배포하였습니다. 시험을 위한 기본서로 응시하시는 분들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의 홈페이지 내 발간물도 참고하여 보시면 긍정적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연구실 내 유해인자가 다양해지고 이공계 연구자가 증가함에 따라 기관 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2005년 제정된 법률이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다. 이 법에 따르면 국가는 연구실의 안전한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활동을 지원하는 등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연구실안전관리사는 연구시설·장비 ·재료 등에 대한 안전점검·정밀안전진단 및 관리, 연구실 내 유해인자에 관한 취급 관리 및 기술적 지도·조언, 연구실 안전관리 ..
2023.06.01